챗GPT 앱 – 빙 앱 사용법 (Bing)

챗GPT 앱 빙 앱 사용법에 관한 글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빙에 챗GPT가 탑재되어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빙을 앱으로 이용하는 앱이 출시되어 소개합니다.

사용법도 엣지에서 사용하는 빙과 흡사해 편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얼마전 소개했던 챗GPT 앱 Askup과 비교테스도 진행합니다.

챗GTP 앱 빙 앱 사용법

빙 앱을 사용하기 위해 아래 링크를 통해 먼저 설치를 진행하세요.

전체적인 사용법은 웹에서 마이크로소프트 빙을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단, 엣지에서 이용가능한 사이드바의 작성 기능은 없고, 오로지 일반 채팅 기능만 있습니다.

챗gpt 앱으로 마이크로소프트 빙 AI 앱을 이용 가능
  1. 빙 앱을 실행하고 웹에서 빙을 이용했던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2. 메인화면에서 가운데 빙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3. 원하시는 질문에 맞는 대화 스타일 선택합니다.
  4. 질문 내용을 키보드나 음성 입력으로 질문합니다.
  5. 추가적인 질문이나 관련 링크를 이용합니다.
  6. 새로운 주제에 대해 질문할 때는 채팅창 옆에 빗자루 아이콘을 선택하세요.

음성을 통한 질문이 가능하다는 점외에 웹에서의 엣지에서 빙을 사용하는 방법과 다른 점이 없어 손쉽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장점이라면 음성 질문과 음성 답변이 가능하다는 점 정도입니다. 단점이라면 사이트, PDF요약은 불가능합니다.

다른 장점으로는 창작 모드가 있어 어디서든 간단한 창작에 활용에 가능합니다.

챗GTP 앱 빙 앱과 AskUP 앱과 비교하기

챗GTP 앱 중 이미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AskUP이 있습니다. 두 앱 모두 GPT-4 모델을 이용하고 있으며, AskUP 앱은 카카오톡을 이용해 별도 설치없이 편리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같은 질문을 통해 두 모델의 답변을 비교해 봅니다.

챗GPT 앱은 빙AI 앱과 AskUP 앱이 있고 성능차는 크지 않다.
왼쪽) 빙 AI 오른쪽) AskUP

이미지에서 보듯이 양쪽 모두 비슷한 답변을 줍니다. 하지만 AskUP쪽이 좀 디테일하고 다양한 정보를 줍니다. 관련 링크도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빙 앱은 균형 잡힘으로 질문을 했습니다. 전문가 모드로 하면 미세먼지 측정 기준과 장비 소개등 과학적인 답변을 합니다.

사용의 편의성으로는 카카오톡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Askup이 장점이 많고, 답변의 품질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음성 답변이 가능하다는 점은 빙 앱이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큰 차이점이 없지만, 곧 오피스365 코파일럿이 출시 예정으로 연계될 서비스가 많으니 출시후 다시 한번 확인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챗GTP 앱 빙 앱과 같이 읽은만한 글

답글 남기기